A. 지분투자
보통주 / 우선주
3자 배정 / 구주매각

B. 전환우선상환주
최근 전환 상환 우선주로 투자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전환우선상환주는 특정기간만 우선주의 성격을 갖고 그 이후는 발행 당시에 결정한 일정 요건이 구비되면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식으로, Refixing조건은 회사가 제시한 매출액과 세후 순이익을 달성할 경우 1:1로 전환되며, 그렇지 못한 경우 목표액과 실현 순이익 사이의 퍼센트를 기준으로 전환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C. 전환사채 (CB)
1963년 쌍용시멘트에 의해 국내에 처음 소개되고, 80년대 중반부터 기업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환사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채권으로서의 권리확보와 신주인수권을 옵션으로 부여(표면금리는 회사채보다 낮음) 2. 비상장 주식회사는 상법상 사채의 발행한도는 순자산(자본금)의 4배 이내에서 발행 가능 3. 지분투자의 비해 옵션의 가치만큼 프리미엄을 부여(통상 투자단가가 20% 정도 높게 책정)
전환사채 발행시주요 고려사항
- 표면금리, 만기보장수익율 및 전환조건임

D. 신주인수권부 사채(BW)
1998년 신한은행이 BIS 기준을 맞추기 위해 대규모 증자시 이용하는 형태이다. (투자자들은 수백배의 수익) 주요특징은 일정기간후 신주발행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붙어있는 채권(사채와 신주인수권 분리형이 대부분)이며, CB와 다른점은 전환권에 해당하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더라도 채권은 소멸되지 않으며, 권면총액에는 사채가치와 신주인수권이 가치가 포함(액면금액의 10%가 신주인수권 가격임)되어 있다는 점 등이다.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시 주요 고려사항
표면금리, 만기이자율 및 행사가액

E. Project Financing
영화, 공연, 게임, 대형건설사업 등 개별 프로젝트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VC들도 게임에 대한 PF을 조금씩 하고 있다. 영화, 공연 등에서는 이미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활성화(2~3개월에 10% 내외의 수익) 되어 있다.

Project Financing 관련 사항
국내에서는 투자와 대출의 중간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은행마다 Project Financing팀이 있고, 대략적으로 200억원 이상의 큰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시중금리보다 조금 높은 수준에서 수익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Project Financing 추진시 제출해야 할 주요자료는 다음과 같다.
사업손익 분석, 현금흐름표, 보증 관련 사항
Time schedule(운영, 자금집행)


 

[자료출처 : 사업아이디어 & 창업자금조달 카페 (http://cafe.daum.net/efund)]

+ Recent posts